시작페이지로 등록
즐겨찾기에 추가
최근게시물
첫 페 지
연구소소개
논문,논단
칼 럼
기 획
기 타
이북방문기
자 료 실
최 신 글
논문,논단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2편)
05-30
논문,논단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1편)
05-30
논문,논단
죽음을 초극한 사람
05-08
논문,논단
자주적인 사상의식과 신념의 중요성
04-29
논문,논단
주체의 혁명적 수령관의 독창성 문제
04-14
논문,논단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2편)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 (2 편 ) - 질의응답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의 올바른 이해 - 김현환 ( 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 머리말 조국 해방 • 분단과 더불어 나의 50 평생의 삶은 …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1편)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1) -질의응답을 통해 알아본 주체사상의 올바른 이해- 김현환(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재미자주사상연구소 김현환 소장이 집필한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를 연재한다. 이전에 같은 제목으로 소개된 21편 분량은 이 책의 속편에 해당한다. 김현환 소장은 1989년부터 지난 35년간 이북을 수십 차례 방문하여 주체사상 학자들과 많은 대화를…
칼 럼
집단주의를 《독재》로 볼수 있는가
이북은 로동당이 지배하는 《일당 독재사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이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고싶다. 만약에 해방후 이남에서 김구선생과 려운형선생이 암살되지 않고 정권을 잡고 자주화와 민주화와 통일을 지향했다면 그들을 추종하는 사람들이 만든 정당정치를 오래 …
감명깊게 읽은 글 - 정신력 강자들의 승리의 행군
감명깊게 읽은 글 - 정신력 강자들의 승리의 행군 김현환 ( 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 지금까지 내가 읽은 외국인들이 쓴 이북에 …
기 획
김정일위원장이 일생동안 지향한 길
김정일위원장이 일생동안 지향한 길 김현환 ( 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 < 다음 글은 지난 12 월 11 일 엘에이에서 가진 …
결론:<해방신학>을 향하여
[결론:<해방신학>을 향하여] 김현환 (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신구약 성경을 내 나름대로 재해석하면서 나는 절대적이고 문자주의적이며 교조적인 기독교에서 해방하여(Liberation From) 새로운 해방된 사회를 지향하려고(Liberation For) 시도하였다. 그러면 내가 지향하는 해방된 자주적인 사회는…
피눈물 나는 피압박민의 저항의 역사
피눈물 나는 피압박민의 저항의 역사 -[요한계시록]의 연구- 김현환(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계시 위주의 이남 기독교는 성서 66권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의 신비적인 해석에 현혹되는 경우가 많다. 바울의 비역사적인 <낭만적 기독교>에 깊이 빠져있는 이남 기독교는 [요한계…
기 타
왜 조선의 승리는 과학인가?
왜 조선의 승리는 과학인가 ? 질문 : 동태관 논설위원은 2016 년 9 월 26 일자 로동신문 [ 정론 ] 에서 < 조선의 승리는 과학이다 > 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왜 조선의 승리는 과학일까요 ?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조선을 붕괴시…
사회역사에 대한 토론:주관적인 것과 주체적인 것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사회와 역사에 대한 토론(주관적인 것과 주체적인 것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질문: 주체의 사회역사관이 인간을 고찰의 중심에 놓고 역사발전과정을 인간의 <자주성과 창조성이 증대발전하는 과정>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강조하셨는데 그것은 관념론적이며 주관주의적인 역사관이 아닌가요? …
사회와 역사에 대한 토론(사회역사의 객관적 법칙에 관하여)
[토론연재25] 사회와 역사에 대한 토론 편집국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회원들의 모임에서 자유토론이 있었다. 토론은 지금까지 토론한 <철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이제 <사회>와 <역사>에 대한 주체사상의 이해, 즉 <주체사관>에 …
그거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입니다.
그거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입니다 . 김현환 ( 재미자주사상연구소 소장 ) 나…
이산가족들에게 시간이 없다.
이산가족들에게 시간이 없다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정부대책이 시급하다. 김현환(재미동포서부지역연합회 회장) 나는 며칠 전 2014년 6월 초에 다섯 분의 재미동포 이산가족들을 모시고 이북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일행 중 한 분은 82세이고 세 분은 모두 80이 가까운 70대의 노인들이…
왜 조선의 승리는 과학인가?
개건, 현대화와 《개혁개방》정책의 차이
공화국의 강성대국건설방식
집단주의를 《독재》로 볼수 있는가
HOME
|
연구소소개
|
논문,논단
|
칼 럼
|
기 획
|
기 타
|
이북방문기
|
자료실
Copyright @ 2012~2014 재미자주사상연구소